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모의계산 해보기

기초연금 수급자격 / 모의계산 방법

 

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 진입 속도가 OECD 국가 중에 가장 높다고 하는데요. 한국이 짧은 시간에 이렇게 경제적 발전을 이룬 데는 그 분들의 공로가 가장 컸기때문에 국가에서도 어르신들의 노후생활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도록 다양한 복지 정책을 추진 중인데요. 그 중에 하나가 바로 기초연금 제도입니다.

 

올해는 물가/소득 인상에 따라 선정기준액이 6.9% 가량 올랐고, 근로소득 기본공제액도 4만원 인상됐으며, 기본재산액 공제한도 역시 작년 대비 25% 상향 조정되는 등 몇 가지 변동 사항이 있지만, 기본적인 기초연금 수급자격에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.

 

그럼 지금부터 기초연금 수급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대상자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는데요. 작년에 비해서 소득인정액이 인상되면서 단독가구는 93만 원, 부부가구는 148만8천 원 이하이면 받을 수 있습니다. 소득인정액이란 소득과 재산을 각각 월 단위로 평가/환산한 금액을 말합니다.

 

그리고 공무원연금 등 각종 직역연금 수급자는 원칙적으로 수령대상에서 제외되지만, 아래 표와 같이 일부 예외가 있으므로 혹시 본인이 해당되는지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.

 

소득인정액 산정방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보시면 사례와 함께 자세하게 계산 방법이 나오므로 참고하시기 바랄게요. 그런데 젊은 사람도 쉽게 계산하기 힘들 정도로 다소 복잡한 식이 나오니 어르신들은 오죽하겠습니다.^^

 

그래서 정부에서 만든 홈페이지를 이용하시면 간단하게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함께 소득인정액까지 알아볼 수 있는데요. 지금부터 그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해 드릴게요.

 

각종 검색사이트에서 아래처럼 검색어를 넣으시면 보건복지부에서 만든 홈페이지가 나옵니다. 아래 빨간 박스로 표시한 링크를 클릭해보세요.

 

첫 페이지에 이 제도에 대한 간단한 소개가 나오는데요. 중간쯤에 보시면 "기초연금 자가진단"이 나오죠? 거기를 눌러서 들어가세요.

 

그러면 아래처럼 총 8가지 질문이 차례대로 나오는데요. 하나하나 솔직히 답변해나가시면 위에서 복잡하게 설명한 자격조건과 함께 소득인정액까지 비교적 간단하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. 

 

물론 이 방법은 모의계산이므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구요. 실제 수급여부를 정확하게 아시려면 직접 신청기관을 방문하시거나 보건복지부 콜센터(T. 129) 혹은 국민연금공단 콜센터(T. 1355)로 문의하시면 빠릅니다.

 

이상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모의계산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봤습니다.